존 리 행정장관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부과를 '야만적'이라고 비난하며 그에 따른 위험을 완화하기 위해 자유무역협정(FTA) 확대 등으로 맞서겠다고 말했다.
8일 홍콩 일간 싱타오와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존 리 행정장관은 이날 오전 행정장관 자문기구인 행정회의에 참석하기에 앞서 기자들에게 미국의 전방위 관세부과 정책에 대해 "일방적 괴롭힘이자 야만적" 처사라고 말했다.
리 장관은 "미국은 더 이상 자유무역을 추구하지 않으며 국제사회가 공동으로 건설한 세계 무역 질서를 제멋대로 파괴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글로벌 경기침체 위험을 키우는 등 세계에 큰 위험과 불안정성을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리 장관은 홍콩 정부가 미국의 관세에 대응하기 위해 "국제교류 협력을 강화하고 경제무역 우호 관계를 확대하며 더 많은 국가 및 지역과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지역협력 심화를 위해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조기 가입을 계속 추진하고 동남아시아, 중동, 일대일로 국가들과 자유무역협정을 포함한 무역·비즈니스 연계를 강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 일환으로 홍콩이 사우디아라비아, 방글라데시, 이집트 페루와 투자협정을 위한 협상을 진행 중이며 이집트, 튀르키예, 캄보디아에 새로운 홍콩 무역사무소를 설치할 것이라고 말했다.
리 장관은 이와 함께 국제금융 협력 촉진, 자금 유치, 업계 지원, 산업 업그레이드 및 전환, 과학기술 혁신 등으로 관세 위협에 맞서겠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지난 2월과 3월 중국산 수입품에 10%씩의 보편관세를 추가 부과한 데 이어 오는 9일부터는 34%의 상호관세를 물리기로 했다.
이는 홍콩에도 그대로 적용돼 홍콩 상품에 부과되는 미국의 관세율이 54%로 올라가게 된다고 리 장관은 말했다.
한편, 홍콩 기업 CK허치슨홀딩스가 파나마 운하 항구를 미국 블랙록 컨소시엄에 매각하기로 한 것과 관련해 리 장관은 "이 문제에 대해 광범위한 논의가 있었으며 이는 해당 사안에 대한 사회의 우려를 반영한 것"이라며 "이런 우려에는 진지하게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