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끄러운 일상을 제공하는 심리스(Seamless) 테크놀로지 봉제선이 없는 의류와 같이 ‘아주 매끄러운 상태(Seamless)’의 끊김없는 일상을 지원하는 하이테크(High-Technology) 전자제품 또한 눈길을 끌었다. 홍콩 기업인 Brilliant Guard Limited사에서 생산한 IoT를 활용한 스마트 자물쇠(Smart Lock)는 일반적인 자물쇠와 달리 모든 자물쇠의 설정 상태를 스마트폰을 통해 실시간으로 관리가 가능하다. 각 열쇠마다 열 수 있는 자물쇠를 설정할 수 있어 당장 열쇠 하나...
지난 4월 15일 아시아 최대 전자 박람회 중 하나인 2023 홍콩 춘계 전자제품 전시회가 막을 내렸다. 홍콩 컨벤션센터(Hong Kong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re, HKCEC)에서 오프라인으로 총 4일간 진행되었던 이번 전시회에는, 4일 내내 전 세계 각국 수많은 바이어와 전시기업들로 붐비는 등 코로나 이전의 전시장 열기를 되찾은 분위기였다. 이번 2023년 춘계 전자제품 전시회는 ‘Connecting the World with Innovations for Better Liv...
시장규모 및 동향홍콩은 세계적인 가정용품(Houseware) 소싱 센터로서, 주방용품, 식탁용품, 비전자 가정용 쿠킹웨어, 위생도기, 홈인테리어 등 다양한 가정용품에 대한 시장 수요가 존재한다. 시장조사 기관인 유로모니터(Euromonitor)에 따르면 2021년 홍콩 가정용품 시장 규모는 23억 홍콩달러(약 2억9,500만 미 달러) 규모로 전년 대비 7.3% 증가했다. 이 같은 성장은 글로벌 공급망 차질에 의한 원자재 가격 및 물류비 증가로 가정용품 제품 가격이 상승하고 펜데믹으로 인한 가정 내 체류시간이 ...
시장 특성 : 현지 시장의 특성을 감안한 '마스터 프랜차이즈' 계약 형태 선호홍콩은 상대적으로 시장 규모가 작기 때문에 프랜차이즈 시장에서 가장 일반적인 계약 유형은 '지역분할*' 방식이다. 홍콩 프랜차이즈 기업은 일반적으로 서브 프랜차이징을 두기보다는 홍콩 내 모든 가맹점을 직접 운영하는 것을 선호한다. 또한 홍콩 지역 내 기업이 프랜차이즈 업체와 제휴하여 공동으로 지분을 투자하여 프랜차이즈를 공동으로 개발하는 경우도 있다. 주변 아시아 지역에 소재한 특정 브랜드의 마스터 프랜차이즈(Master Fr...
시장 개요 : 서비스 중심의 시장으로 '프랜차이즈 사업 모델' 지속 확산홍콩 GDP의 94% 이상은 서비스 산업이 차지하고 있어 프랜차이즈 비즈니스 모델이 서비스 산업 전반으로 확대되는 분위기다. 프랜차이즈 비즈니스 모델은 식음료, 소매/유통 분야 외에도 세탁 서비스 등 기타 서비스 부문까지 다양한 사업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간 홍콩 프랜차이즈 시장도 1970년대 맥도날드와 KFC라는 두 글로벌 프랜차이즈 브랜드 진출을 시작으로 피자헛, 세븐일레븐, 서브웨이, 스타벅스, 파이브가이즈 등 수많은 유명 글...
국제 허브 도시(Asia's World City)로서의 위상 회복 노력 글로벌 비즈니스 허브로서의 홍콩의 위상을 회복하기 위한 초대형 이벤트 개최와 홍보에 1억 홍콩달러(약 1,273만 미 달러), 홍콩 팝 컬처 페스티벌과 홍콩 와인 페스티벌 등을 위한 신규 이벤트 개최 등에 2억 5,000만 홍콩달러(약 3,185만 미 달러) 가 각각 배정됐다. 또한 컨벤션 및 전시회(MICE*) 분야 강화에 2억 홍콩달러(약 2,548만 미 달러) 를 배정했다. 아울러 금융감독...
2월 22일 홍콩 정부는 2023/2024회계연도 예산안을 발표하였다. 이번 예산안에는 경제 활성화를 위한 소비 진작과 기업 지원 정책, 해외 인재 및 자본 유치 계획 등이 포함돼 홍콩 진출을 희망하는 한국 청년과 스타트업들의 주목이 필요하다. 2023/2024회계연도 홍콩 예산안 개요 이번에 발표된 ‘홍콩 2023/2024회계연도 예산안(FY 2023/2024)’은 2023년 4월 1일에 시작해 다음 해인 2024년 3월 31일에 종료된다. 1년 간 총 지출규모는 7,610억 홍콩달러(약 969...
2022년 홍콩의 상위 10대 품목 품목별로 살펴보면, 10대 수출과 수입 품목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이는 홍콩은 기본적으로 재수출 중심의 무역 구조를 보이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가령, 전체 수출과 수입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품목은 전자집적회로(HS 8542)로서 전체 수출의 35%, 수입의 33%를 차지했다. 10대 수출 품목 대부분이 전년 대비 수출액이 감소했으며, 특히 전체 수출의 약 45%를 차지하는 전화기, 자동자료처리기계, 기계 부분품의 수출이 각각 27....
최근 홍콩 정부는 2022년 홍콩 경제 성장률을 -3.5%로 확정 발표했다. 교역규모도 전년대비 7.9% 감소했다. 한국의 對홍콩 수출도 26.2% 감소하며 무역흑자 규모도 전년대비 94억 달러 줄었다. 그러나 2023년 홍콩 경제는 점차 회복될 전망으로 중계무역과 글로벌 비즈니스 거점으로서 위상 회복이 기대된다. 2022년 홍콩 경제 실적 지난 2023년 2월 22일 홍콩 정부는 2023-2024 예산안과 함께 2022년 홍콩 경제 동향 통계치를 발표했다. 확정된 2022년 홍콩 경제 성장...
시장동향 지난 3년 동안 코로나19는 운동, 레저, 여행 산업에 큰 타격을 입혔다. 그러나 예외적으로 코로나19로 인해 빠르게 성장한 시장이 있다. 바로 온라인 피트니스 시장이다. 틱톡운동헬스리포 트에 따르면 2021년 틱톡(TikTok) 내 운동/헬스 관련 동영상 수는 전년 대비 134% 증가했으며 헬스 관련 틱톡커의 구독자수는 208% 증가했다. 또한 헬스 관련 라이브방송 수입도 14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로 인해 빠르게 성장한 중국 온라인 피트니스 시장은 포스트 코로나...
시장동향 중국에서 취학 전 교육을 제공하는 기관은 주로 탁아소(3개월~3세), 유치원(3~6세), 유아교육센터(0~6세)로 나뉜다. 취학 전 교육기간은 만 나이 기준 0세부터 6세로 초등학교 입학 전까지 짧게는 3년에서 5년이다. 보통 중국에서 탁아소(托儿所)는 3개월~3세 유아에게 적합하며 부모의 맞벌이 등으로 인한 위탁보육의 개념이 강하다. 유치원은 우리나라의 유치원과 비슷한 개념으로 초등학교 입학 전 단체교육을 위한 예비교육을 실시한다. 보통 종일반으로 운영되며 중국어, 산수, 체육, 만들기(...
브이튜버가 탄생하는 과정 브이튜버가 탄생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그림 작가가 고객사에서 구상한 캐릭터 이미지를 기반으로 CG(Computer Graphics)기술을 통해 구체적인 그래픽을 제작한 뒤 3D 모델링 작업을 전문 업체에 의뢰한다. 3D 아티스트들은 모션 캡처*(Motion Cap- ture)와 Live2D 기술**을 이용해 인간의 움직임과 표정을 재현함으로써 브이튜버에 숨결을 불어넣는다. • 몸에 센서를 부착시키거나, 적외선을 이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인체의 움직임을 디지털 형태로 기록하는 작업 ...
홍콩에서 메타버스·VR·AR 등 혁신기술 열풍이 불고 있는 가운데 가상 인간이 실제 팬덤을 바탕으로 유튜브(YouTube)와 스트리밍을 통해 활동하는 브이튜버(Vtuber)가 주목을 받고 있다. 브이튜버(Vtuber)는 무엇인가? 브이튜버(Vtuber)는 ‘Virtual Youtuber’의 약자로 유튜브 동영상 제작으로 활동하는 가상 캐릭터를 의미한다. 브이튜버는 일반 유튜버와 같이 유튜브·트위치(Twitch) 등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과 인스타그램·Tik Tok등 SNS 플랫폼에서 활약한다. 비...
글로벌 경기 하방 리스크로 수출 전망 불투명 세계무역기구(WTO)는 2023년 전 세계 상품 교역량 증가율이 1%에 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홍콩의 경우 홍콩무역발전국(HKTDC)은 최근 경기 흐름에 불확실성이 내재해 있고 2023년에도 인플레이션, 지정학적 긴장, 중국 본토 간의 물류 차질 등 경제 하방 리스크가 상존하기 때문에 홍콩의 수출 전망이 극도로 불투명하다고 전망했다. 2022년 4분기 HKTDC에서 홍콩 6대 산업의 무역회사 5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36.2%의...
2023년은 홍콩이 코로나19 대유행에 대응한 지 4년째로 접어드는 해이다. 여러 국내외 기관에서는 2023년 홍콩 경제가 올해의 극심한 침체에서 벗어나 본격적으로 회복할 것으로 보고 있지만, 경제 성장 속도는 전망치에 비해 낮을 것으로 예상했다. 2022년 홍콩 GDP 실적 2022년 홍콩 경제는 코로나19 제5차 확산, 미국 금리인상,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실질 GDP 기준 3분기 연속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주요 GDP 구성요소별로 보면, 민간소비 지출은 1분기에 감소를 기록...
2022년 12월 1~2일 홍콩 정부, 홍콩무역발전국(HKTDC) 및 홍콩 디자인센터가 주관하는 제12회 아시아 지식재산권 포럼(BIP Asia Forum)이 팬데믹 발발 이후 2년 만에 처음으로 오프라인·온라인 하이브리드 형태로 개최되었다. “Creating New Value, Discovering New Frontiers (새로운 가치의 창출, 새로운 영 역의 개척)”을 주제로 진행된 이번 포럼에는 40개 국가 및 지역의 약 1만4000여 명이 온·오프라인으로 참가하였다. 주요 특징 2021년...
홍콩의 안경 산업 특징 및 현황 높은 임금과 임차료로 인해 홍콩 내 안경 제조산업의 규모는 매우 작은 편이다. 홍콩 무역발전국(HKTDC)에 따르면, 2020년 기준 홍콩 내 안경 제조기업은 40개사 내외로, 이는 안경을 취급하는 무역회사와 비교했을 때 6.9% 수준에 불과하다. 홍콩 내 안경 생산업체들은 광범위한 안경테 디자인을 제공하고 있지만, 대부분 소량 생산만 하고 있다. 다양한 안경테 소재 가운데 홍콩 안경테 생산업체들은 셀룰로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나일론 무테(r...
홍콩 정부의 반도체 산업 지원 2) 반도체 포함 혁신제조산업에 대한 보조금 제도 홍콩 정부는 2020년 7월부터 홍콩 내 설립된 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 생산라인 도입 또는 생산 자동화를 지원하는 보조금 제도인 Re-industrialization Funding Scheme을 출시했다. 보조금 신청 기업들은 생산 과정에서 IoT, 빅데이터, 인공지능, 머신 학습 등 혁신기술을 활용한 경우, 생산라인당 최대 1500만 홍콩 달러(약 191만 미 달러)를 지원받을 수 있다. 정부 당국에 따르면, 2...
세계 반도체 산업 현황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미·중 갈등 심화 등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위기가 지속되면서 중국을 비롯한 주요국은 반도체 산업의 공급망 확보를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세계반도체시장통계기구(WSTS)에 따르면, 2021년 글로벌 반도체 시장은 5559억 달러로 전년 대비 26.2% 성장했으며, 이는 2010년 31.8%의 성장률을 보인 이후 가장 큰 폭의 증가였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향후 반도체에 대한 투자가 활발할 것으로 전망되기도 했지만, 글로...
홍콩 유니콘 기업 성공 사례 1) 홍콩에서 아시아로 나아간 여행상품 플랫폼 KLOOK 자유여행자들을 위한 여행상품을 제공하는 KLOOK은 여행지에서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액티비티, 투어, 교통편, 체험을 보여주는 O2O 플랫폼이다. KLOOK은 2014년 홍콩 사이버포트 인큐베이션 프로그램의 후원으로 창립되었으며 2015년 당시 중국 텐센 트홀딩스(Tencent Holdings)의 CEO 오소광(吴宵光)을 포함한 투자가들로부터 150만 미 달러 규모의 시드 투자를 유치하였다. 그 이후로 여러 라...
2022년 9월 국제금융센터지수(GFCI), 홍콩은 싱가포르에 이어 4위 기록 2022년 9월 영국계 컨설팅회사 Z/Yen Partners에서 발표한 ‘국제금융센터지수(Global Financial Centre Index, GFCI)’*에 따르면, 홍콩은 금융경쟁력 부문에서 세계 126개 도시 중 ‘뉴욕, 런던, 싱가포르에 이어 4위를 기록하였다. 이는 동년 3월 발표한 3위에서 한 단계 하락한 결과로, 코로나19 장기화 상황 속에서 아시아 금융중심지로서의 홍콩의 지위가 위협을 받고 있다는 분석도 함께 있었다....
홍콩수요저널이 추천하는 집단 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