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신공항에 들어선다. 당분간 다시 찾기 어려운 공항이다. 홍콩의 첵랍콕 공항을 연상시킨다. 1998년 홍콩의 첵랍콕 공항 개항. 그러나 개항과 동시에 화물과 승객이 체(滯)하여 꼼짝달싹도 못하는 대혼란. 붉은 담수어가 살았다는 아름다운 섬, 첵랍콕의 숨은 복수였던가, 아니면 마지막 몸부림이었던가. 2001년 첵랍콕 공항과 여러모로 많이 닮은 인천국제공항이 개항될 때 인천 첵랍콕이 되지 않을까 하여 많은 걱정들을 했다. 그러나 예상을 엎고 순항을 시작한 인천신공항이 자랑스러웠다.
인천 앞바다 서해안에 거대하게 떠있는 인천공항이 발 아래로 차츰 멀어진다. 좌석 앞의 나비게이트 지도에는 기수가 동쪽으로 향하고 있다. 서울에서 홍콩으로 가는 경우 한반도의 서쪽으로 꺽어 서해안을 따라 쭉 내려가는 항로였는데 이번에는 반대로 향한다.
어! 나는 일본으로 가고 있다. 일본이 어딘가. 일본의 옛 이름도 많다. 먼저 扶桑國. 중국 사람들이 동쪽의 봉래산 어디에 있다고 전설처럼 믿고 있는 부상. 요즘 왜곡교과서를 지은 출판사가 바로 扶桑社(후쇼사). 다음 倭國, 옛날 倭人 또는 倭寇가 살던 곳이 아닌가. 중국 사람들은 동서남북 異民族(소수민족)이 출몰하여 골치가 아팠다는데 그중 가장 시끄러운 종족이 북쪽의 匈奴, 가장 조용하면서 점잖은 종족이 남쪽의 倭寇라고 했다.(寇는 소수민족의 異稱으로 蠻.夷.奴등과 같은 의미). 倭라는 것이 당초 중국의 古文 해석에는 "조용하다"는 뜻이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여러민족이 모이는 국제회의에서 일본 사람이 가장 조용하며 "무쿠치"(無口)로 유명하다.
또 倭에 얽힌 異說이 있다. 우리는 왜라고 발음하지만 중국음은 越과 비슷하다. 발음하면 "웨". 중국의 춘추전국시대를 지나면서 지금의 상해, 항주 근처의 强國 越이 역사에서 사라졌다. 越과는 犬猿之間에 있던 吳는, 漢末의 三國分割시 孫權을 맞이하여 다시 부활하였지만 越은 그후 역사에서 보이지 않는다. 어디로 갔을까.
日本으로 갔다고 한다. 모두 배를 타고 일본에 건너갔다는 것인지. 그래서 日本을 "웨"(越)라고 하고 表記는 같은 발음으로 뜻은 다른 倭라고 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日本은 日本이다. 그런데 日本이라는 뜻은 뭔가.
히노모토(日の本)
일본 사람은 자신들을 히노모토(태양이 떠오르는 곳)라고 한다. 태양(日)의 근본(本)이다. 이것은 어디서 나온 이름인가. 중국 사람들이 붙인 이름을 일본 사람들이 국호로 정한 것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옛 중국 사람들은 우리나라와 일본지역을 한데 묶어 東夷라고 불렀다고 한다. 동쪽의 이민족이라는 뜻이다. 진수가 지었다는 역사서 三國志가 있다. 이 책은 후에 나관중이라는 작가가 소설 삼국지 식으로 설화, 전설등을 섞어 正史에는 쓰지 못하는 이야기를 넣어 재미있게 재구성한 三國志演義를 쓸 때 기본이 된 역사서이다. 三國志, 즉 漢志(蜀漢), 魏志, 吳志로 짧지만 당시 三國의 歷史를 기술하였다. 東夷는 三國中 魏國소속이어서인지 魏志에 나온다. 우리도 잘 아는 魏志東夷傳이다. 중국의 중원(현재의 서안-낙양)에서 보면 해는 항상 동쪽 지방에서 뜬다. 우리나라는 조선이다. 글자뜻으로 풀어보면 외국인이 잘 쓰는 morning calm, 또는 morning fresh라고 할 수 있다. 중국에서 보면 아침(東)이 먼저 오는 나라가 조선이고 그보다 더 동쪽 일본은 문자 그대로 해가 뜨는 곳이라고 보았는지 모른다.
마르코폴로의 지팡구
13세기 이태리의 베니스상인 마르코 폴로는 중국에 와서 살고있었다. 이태리에서 실크로드를 따라 중국으로 왔다. 당시 중국은 몽골의 나라 元이었다. "만물의 으뜸"이라는 의미로 너무 이름부터 크게 지어서 100년도 못되어 망했는지 모른다. 황제 쿠빌라이칸은 마르코폴로를 통해 서양의 이야기를 듣기를 좋아하였다. 여행을 좋아하는 그는 황제의 특명으로 중국 내지를 여행한다. 황제를 위한 일종의 內政 시찰이다. 마르코폴로가 남송의 수도였던 항주지역에서 원의 벼슬을 받아 근무도 하였다. 그가 그 곳에서 일본에 대해서 들은 이야기가 동방견문록에 기록되어 있다. 일본, 즉 "지팡구"는 동해에 떠있는 큰 섬인데 항주에서 2,400km정도 가면 닿을수 있다. 주민의 피부색은 희고 文化가 있으며 물질이 풍부하고 누구에게도 지배받지 않고 산다. 특히 황금이 많다. 황금의 매장이 많은데다가 임금이 황금의 외부유출을 금지하고 있어서 그렇다. 또한 너무 멀어서 외부와의 거래도 없어 황금은 그대로 지천으로 쌓여있다. 임금이 사는 궁전의 지붕, 마루가 모두 황금으로 되어있고 심지어 궁전속의 길도 납작하게 눌린 황금 타일로 만들어져 있다.
"지팡구"라는 말은 어디서 왔을까? 당시 중국 사람들이 일본을 日本國이라고 부르고 발음을 "리쁜꾸"라고 했던 것 같다. "리쁜꾸"는 마르코폴로가 이태리말(라틴어)로 Japonku라고 표기하여(J의 발음은 Y) 야폰이라고 했는데, 영국이 세계무대에 나서면서 야폰(Japon)을 영어식으로 재폰, 재팬으로 읽고 "리쁜(日本)꾸(國)"가 "지팡구"로 바뀐 것으로 추정된다. 지금의 중국 발음으로 日本을 "리쁜"으로 부르고 있어 7-8세기 전의 발음과 유사하다. 녹음기가 없는 시절의 발음은 순간으로 사라지고 文字만 남아있어 당시 발음을 정확히 알기는 어렵다.
유 주 열 (수요저널 칼럼니스트)
yuzuyoul@hot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