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복건성 남부에 하문(廈門), 보통화 발음으로는 샤먼(Xiàmén)이라는 도시가 있습니다. 복건성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이기도 하고 대만과 매우 가까운 항구 도시이기도 합니다.원래 이 도시의 이름은 아래 하 자가 들어간 하문(下門)이었는데 청나라 시대에 의미가 별로라는 이유로 下가 발음이 같은 큰집 하(廈)로 바뀌어 하문(廈門)이 되었습니다. 下門과 廈門 모두 보통화 발음은 Xiàmén으로 동일합니다.한편 하문을 영어로는 종종 Amoy라고 표기하는데 이는 하문을 복건성 방언인 복건어(福建話...
홍콩의 바로 위에는 심천이 있습니다. 보통화로 선전(Shēnzhèn), 광동어로 쌈잔(Sam1zan3)이라고 읽는 심천은 1970년대까지만 해도 사람이 거의 살지 않는 바닷가 마을이었지만 등소평이 개혁개방 정책을 편 후 급속도로 성장해 지금은 북경, 상해, 광주와 함께 중국 4대 도시로 불릴 정도가 되었습니다.심천은 한자로 深圳이라고 쓰는데, 깊을 심(深)은 일상에서 자주 쓰이는 글자이지만 천(圳)은 심천이라는 지명을 쓸 때를 제외하고는 볼 일이 정말로 없는 글자입니다. 한국에서는 쓰이지조...
廣 넓을 광한자의 자형(字形)이라 하면 경우에 따라 전서, 예서, 해서, 행서, 초서 등의 서체를 말하기도 하고 정체자, 간체자, 신자체 등을 말하기도 합니다.정체자란 한국과 대만, 홍콩, 마카오에서 쓰이는 전통적인 모양의 한자를 뜻하고 간체자는 중국 본토와 싱가포르에서 쓰이는 간략화된 한자, 신자체는 일본에서 자체적으로 간략화시킨 한자를 뜻합니다.일반적으로 정체자가 가장 복잡하게 생겼고 신자체가 그 다음이며 간체자가 가장 간단하게 생겼습니다.많은 경우 신자체는 정체자와 간체자의 교집합에 가깝습니다만 신자체만의 글자가 있는 경...
商장사상상인(商人)은 문자 그대로 보면 상(商)나라 사람(人)이라는 뜻입니다.중국 고대사를 보면 하(夏)나라 다음에 은(殷)나라라고도 하는 상(商)나라가 등장하고 뒤이어 주(周)나라가 나타납니다.그 뒤는 춘추전국시대로 이어지지요.유명한 설에 따르면 상(商)나라가 망하고 주나라가 들어서자 상나라 유민들이 장사를 하며 여기저기를 떠돌아다니게 되었고,자연스레"상나라 사람",즉 상인(商人)이 장사를 하는 사람이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고 합니다.상인의 어원에 대해서는 이 외에도 여러 설이 있지만 상나라와 연관되어 있다는 점은 동일합니다.상나라...
笑 웃을 소 웃음은 한자로 笑(웃을 소)라고 씁니다. 작게 웃는 것은 작을 미(微)를 붙여서 미소(微笑), 폭발하듯 크게 웃는 것은 터질 폭(爆)을 써서 폭소(爆笑), 웃으며 이야기를 나누는 것은 말씀 담(談)을 붙여서 담소(談笑), 쌀쌀하게 비웃는 것은 찰 랭(冷)을 붙여서 냉소(冷笑)라고 합니다. 어떤 일이 우스울 정도로 어이가 없을 때 가소(可笑)롭다는 말을 쓰는데 여기에도 웃을 소(笑)가 들어 있습니다. 웃는(笑) 것이 가능할(可) 정도로 어이가 없다는 뜻입니다. 笑는 ...
列 벌일 렬, 벌일 열 무언가를 한 자리에 늘어놓는 것을 벌인다, 혹은 벌여 둔다고 합니다. ‘아이가 장난감을 거실 바닥에 벌여 놓았다’, ‘점원이 진열장에 물건을 벌여 놓았다’와 같은 식입니다. 이 ‘벌이다’를 한자로는 列(벌일 렬, 벌일 열) 이라고 씁니다. 바로 앞 예문에 나오는 진열장(陳列欌)은 말 그대로 물건을 진열(陳列)해 놓는 장롱(欌)이라는 뜻인데 여기에서도 벌일 열(列)을 볼 수 있습니다. 물건을 벌여 놓는 것이 진열(陳列)인 것이지요. 우리가 흔히 쓰는 말인 열차...
頭 머리 두 머리 두(頭)는 뜻 부분과 소리 부분으로 이루어진 형성자로 왼쪽에 있는 콩 두(豆)가 소리 부분, 오른쪽에 있는 머리 혈(頁)이 뜻 부분입니다. 뜻 부분인 머리 혈(頁)은 얼굴을 나타낸 상형문자인데 상상력을 발휘해서 보면 윗 부분이 머리카락, 중간 부분이 얼굴, 아랫 부분이 수염임을 알 수 있습니다. 먼 옛날에는 조개 껍데기를 화폐처럼 썼기 때문에 조개 패(貝)가 들어간 한자는 대부분 돈과 관련이 있습니다. 사고 파는 것 역시 돈과 관련된 일이기 때문에 살 매(買), ...
買 살 매 한자들 중에는 뜻은 반대인데 발음은 같은 글자들이 있습니다. 으뜸 패(覇)와 질 패(敗) 때문에 스포츠 뉴스에서 무슨무슨 팀이 2연패를 했다는 말을 들으면 이겼다는 것인지 졌다는 것인지 알기가 어렵습니다. 밝을 명(明)이 있는가 하면 명왕성이라고 할 때에 사용되는 어두울 명(冥)도 있습니다. 개중에는 뜻은 반대이고 발음이 같으면서 심지어 모양까지 비슷한 글자들도 있습니다. 살 매(買)와 팔 매(賣)가 그것입니다. 두 글자를 합치면 팔고 산다는 뜻의 매매(賣買)가 되지요. 한국...
觀 볼 관 홍콩에 꾼통이라는 지역이 있습니다. 구룡 반도 동쪽에 위치한 곳으로 송나라 시절인 1100년대부터 역사에 등장하는 유서 깊은 지역입니다. 당시에는 이 지역에 국가에서 관리하는 염전이 있었고, 그래서 지명도 국가를 의미하는 관(官, 관청 관)이 들어간 官富場(관부장)이었다고 합니다. 꾼통 부근의 긴 해안선을 따라 염전이 많이 만들어졌다고 하네요. 시간이 흐르면서 官富場(관부장)이라는 지명도 다른 이름으로 바뀌어 갔지만 관청 관(官)이라는 글자는 계속 남아 있었습니다. 19...
帶 띠 대 대상포진(帶狀疱疹)이라는 병이 있습니다. 수두 바이러스가 신경을 타고 퍼지면서 발생하는 병인데 띠 모양의 물집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 다. 발병 후 3일 이내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좋으며 그 시기를 놓칠 경우 신경통으로 고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의심 증상이 보이면 빨리 병원에 가 보아야 합니다. 대상포진의 대(帶)는 허리띠, 검은띠 할 때의 띠를 나타내는 ‘띠 대’라는 한자이고 상(狀)은 모양, 포진(疱疹)은 물집이 나타나는 피부병이라는 뜻이니 대상포진은 띠 모양의 물집이 ...
藥 약 약 아스피린은 버드나무 껍질에서 유래한 물질입니다. 버드나무 껍질에는 살리신이라는 성분이 있는데 살리신은 우리 몸 속에서 여러 대사 과정을 거쳐 살리실산이라는 물질로 바뀝니다. 이 살리실산에 진통 효과가 있기 때문에 옛날부터 버드나무 껍질은 진통제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전해져오는 이야기 중에 이순신 장군이 무과에 응시했다가 말에서 떨어져 다리가 부러지자 버드나무 가지를 다리에 동여매고 시험을 계속 치렀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이 역시 버드나무의 진통 효과와 관련이 있을 것입니다. ...
城 재 성 "천등산 박달재를 울고 넘는 우리 님아~" 1948년에 발표된 유명한 곡 "울고 넘는 박달재"의 첫 부분 가사입니다. 박달재는 충청북도 제천에 있는 고개인데 이 노래로 인해 전국적인 명소가 되었습니다. 박달재의 '재'는 산에 있는 고개를 뜻하는 말로, 이 단어가 들어간 속담으로는 가면 갈수록 일이 어려워지는 상황을 뜻하는 "재는 넘을수록 높고 내는 건널수록 깊다"가 있습니다. 수원 화성(華城), 남한산성(南漢山城), 자금성(紫禁城) 등에 쓰이는 성(城)을 사전에서 찾아보면 ...
會 모일 회 모일 회(會)와 일찍 증(曾)은 참 비슷하게 생겼습니다. 윗부분이 會에서는 人一, 曾에서는 八이라는 것만 다르지요. 가끔 컴퓨터에서 글꼴에 따라 일찍 증(曾)의 윗부분이 八이 아니라 V 모양으로 나오는 경우도 있는데 八과 V 모양 둘 다 바른 모양입니다. 이처럼 한자 중에는 모양은 비슷하지만 뜻과 소리는 완전히 다른 글자들이 많이 있습니다. 날 일(日)과 가로 왈(曰)도 좋은 예입니다. 가로 왈(曰)은 "가라사대"라는 뜻의 한자로 공자 왈 맹자 왈이라고 할 때 빼고는 일상...
數 셈 수 나무와 잎을 합치면 나무잎이 아니라 나뭇잎이 되고 바다와 물을 합치면 바다물이 아니라 바닷물이 됩니다. 이렇게 합성어에 끼어 들어가는 시옷을 사이시옷이라고 합니다. 사이시옷은 순우리말 또는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이루어진 합성어에만 들어가는 것이 원칙이지만 6가지 예외가 있습니다. 한자로만 이루어진 단어이더라도 횟수(回數), 툇간(退間), 셋방(貰房), 찻간(車間), 숫자(數字), 곳간(庫間) 여섯 단어에는 사이시옷이 들어갑니다. 앞글자만 따서 "회퇴세차수고", "회퇴야 세차하느라 ...
復 다시 부, 돌아올 복 우리말에서 한자는 대부분 음이 하나이지만 개중에는 음이 여러 개인 것도 더러 있습니다. 예를 들어 北은 보통 ‘북녘 북’으로 읽히지만 敗北(패배)에서는 ‘달아날 배’가 됩니다. 內는 ‘안 내’이지만 궁궐 안에서 일하던 여성들을 뜻하는 단어인 內人(나인)에서는 ‘나’로 읽어야 하고, 마시는 茶는 ‘차’이지만 차를 마시는 곳인 茶房은 차방이 아니라 다방이 됩니다. 오늘 소개해 드릴 復이라는 글자 역시 ‘부’와 ‘복’, 두 가지 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시’라는 ...
入 들 입 동아시아 언어에서는 서로 반대되는 뜻이 하나로 합쳐져서 새 단어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말에서 ‘나가다’와 ‘들어오다’를 합치면 ‘나들이’라는 새로운 단어가 됩니다. 고속도로를 달리다 보면 나타나는 ‘나들목’ 역시 같은 방식으로 만들어진 단어입니다. 한자로도 날 출(出)과 들 입(入)을 합쳐서 出入(출입)이라는 단어를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얼핏 보면 너무 당연해 보이는 조어법이지만 서양 언어에서는 이런 식으로 만들어진 단어를 찾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恭 공손할 공 나라와 언어에 따라 새해 인사가 어떻게 다른지를 알아보는 것은 재미있는 일입니다. 한국어에서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라고 해서 복을 강조하고 영어에서는 "Happy New Year" 라고 하면서 기쁨을 강조합니다. 광동어에서는 싼닌파이록(新年快樂, 신년쾌락), 싼타이낀홍(身體健康, 신체건강), 꽁헤이팟초이(恭喜發財, 공희발재) 등의 다양한 새해 인사말을 사용합니다. 각각 즐거운 새해 되세요, 건강하세요, 돈 많이 버세요라는 뜻입니다. 새해 인사말 하면 연하장에서 자...
另 헤어질 령, 다를 령 한자 공부를 하다 보면 봐도 봐도 안 외워지는 한자가 나타나곤 합니다. 저에게는 另(헤어질 령)이 그런 한자였습니다. 전체 획수가 5획밖에 안 되고, 글자 깨뜨리기를 해 보면 口(입 구)와 力(힘 력)으로 깔끔하게 나뉘는 쉬운 한자인데도 도저히 외워지지가 않았습니다. 한국어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한자라서 그랬던 것이 아닐까 추측만 해 볼 뿐입니다. 另에는 헤어진다는 뜻 외에 '다른, 딴' 이라는 뜻도 있습니다. '다를 ...
拾 열 십, 갖은 열 십 한자 십(十)과 천(千)은 참 비슷하게 생겼습니다. 획 하나 차이입니다. 그래서 나쁜 사람이 마음만 먹으면 위조하기가 참 쉽습니다. 십만(十萬)원을 빌렸는데 나중에 보니 서류에 천만(千萬)원이라고 되어 있으면 매우 난감하겠지요? 일이삼사 등의 다른 숫자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래서 중요한 (주로 돈에 관련된) 숫자를 기록할 때에는 일반적인 한자를 쓰지 않고 갖은자라고 하는 복잡한 한자를 씁니다. 숫자 10은 한자로 십(十)이지만 갖은자로 십(拾)이라고도 씁니다. ...
昇 오를 승 한자 중에는 발음이 같으면서 뜻과 모양도 비슷한 한자들이 있습니다. 知(알 지)와 智(슬기 지), 升(오를 승)과 昇(오를 승), 綫(줄 선)과 線(줄 선)이 좋은 예입니다. 이런 글자들을 익힐 때에는 글자만 외우는 것보다 각 글자가 들어간 단어를 통째로 알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미묘한 어감 차이나 나라간의 차이 때문에 특정 상황에서는 특정 글자만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昇과 升은 둘 다 '오를 승' 입니다. 자세히 보면 昇의 아래에 升이 있는 것을 보실 수 있...
握 쥘 악 사람과 사람이 만나면 인사를 해야 합니다. 인사를 한자로 쓰면 人事, 사람 인(人)과 일 사(事)가 됩니다. 글자 그대로 사람(人)이면 마땅히 해야 할 일(事)이 인사입니다. 인사를 할 때에는 경우에 따라 고개를 숙이기도 하고 악수를 하기도 합니다. 악수는 한자로 握手(쥘 악, 손 수)라고 씁니다. 쥘 악(握)자가 들어가는 단어에는 握手(악수) 외에도 掌握(장악), 握力(악력) 등이 있습니다. 손바닥 장(掌)과 쥘 악(握)이 합쳐진 장악(掌握)은 무언가를 손에 쥐고 있다는 뜻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