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나 중국에서나 장씨 성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한국어 발음은 똑같이 '장'이더라도 한자가 다른 경우가 있기 때문에 유심히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장씨 성에 사용되는 한자 중 가장 많은 인구를 차지하는 글자는 張(베풀 장)입니다. 간체자에서는 길 장(長) 부분을 长으로 간략하게 해서 张이라고 씁니다. 이 張씨는 한국에서 성씨 순위 9위에 올라 있으며 중국에서도 매우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중국어에서 평범한 사람들을 가리킬 때 장삼이사(張三李四)라는 관용구를 쓰는데 문자 그대로 보면 장씨네 집...
홍콩에는 홍콩 대학을 비롯해 많은 대학이 있다. 이 가운데 공립 대학은 8개다. ◀홍콩대 ◀홍콩과기대 ◀홍콩중문대 ◀홍콩시립대(성시대)◀홍콩이공대 ◀홍콩영남대 ◀홍콩침회대 ◀홍콩교육대다. 이들을 홍콩 공립 8대(八大)라고 한다. 이 가운데 홍콩대, 홍콩 과기대, 홍콩 중문대를 홍콩의 삼대(三大)라고 부르고 이 지역의 최고 명문 대학이다. 여기에 홍콩 시립대와 홍콩 이공대를 합쳐 홍콩 5대 명문대학이라고 한다. 이번에는 홍콩 이공대학(香港理工大學), 영어로 홍콩 폴리텍 대학(The Hong Kong Polytechnic U...
매년 설날이 되면 홍콩 곳곳에서 복 복(福) 자를 볼 수 있습니다. 사진에서처럼 빨간 봉투에 福이 적혀 있기도 하고 커다란 종이에 福을 써서 대문에 붙여 놓기도 합니다.福을 뒤집어서 붙여 놓는 경우도 종종 있는데, 이는 널리 알려져 있다시피 중국어에서 뒤집혔다는 뜻의 倒(넘어질 도)와 도달한다는 뜻의 到(이를 도)의 발음이 dào로 동일하다는 점을 이용한 일종의 언어 유희입니다. 복을 거꾸로 붙여 놓고서 “복이 뒤집혔네!”라고 말하면 “복이 오네!”랑 발음이 같아지는 것이지요.福을 쪼개면 왼쪽의 示(보일 시)와 오른쪽의 &...
홍콩 지하철 정관오 선에는 Tiu Keng Leng이라는 역이 있습니다. 한자로는 調景嶺(조경령)이라고 쓰고 광동어로는 티우껭렝(tiu4 ging2 leng5)이라고 읽는데, 이 지역의 이름 변천을 따라가다 보면 한자는 물론 지역의 역사까지 자연스레 접하게 됩니다.이 지역의 원래 이름은 照鏡嶺(조경령), 광동어 발음은 지우껭렝(jiu3 geng3 leng5)이었다고 합니다. 한국어로는 한자만 다를 뿐 발음은 지금의 이름과 같지요. 照鏡嶺의 한자는 각각 비칠 조(照), 거울 경(鏡), 고개 령(嶺)으로 종합하면 ‘거울에 비친 고개’가...
한글에 궁서체, 명조체, 고딕체 등의 글꼴이 있듯 한자에도 글꼴이 있습니다. 한자의 글꼴은 보통 서체(書體)라고 하는데 書(글 서)는 글이라는 뜻이고 體(몸 체)는 꼴이라는 뜻이니 글꼴과 서체는 같은 말이 되겠습니다. 영어로는 폰트(font)라고 하지요.요즘은 컴퓨터 시대라서 한자 서체의 종류가 매우 많습니다만 전통적으로 한자 서체는 크게 5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중고등학교 미술시간에 들어보았음직한 전서, 예서, 해서, 행서, 초서가 그것으로, 앞글자만 따서 ‘전예해행초’ 라고 외우기도 합니다.우리가 일상에서 보는 한자 모양이 ...
매는 한자로 鷹(매 응)이라고 씁니다. 총 24획이나 되는 복잡한 한자이지만 쪼개 보면 의외로 쉽게 외울 수 있습니다. 鷹을 쪼개면 广(큰집 엄), 亻(사람 인), 隹(새 추), 鳥(새 조)가 됩니다.큰 집(广)에 사는 사람(亻)이 키우는 새(隹, 鳥)가 매라고 말을 만들면 쉽게 외워집니다. 매 응(鷹) 한 글자에서 부수로 쓰이는 글자가 네 개나 나왔는데, 각각의 글자를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먼저 广은 집 엄이라는 글자로, 집 중에서도...
예전부터 우리말에도 있었을 법한 개념을 표현하는 데에 외래어가 쓰일 때가 종종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분명 조선시대에도 사람들은 잔에 물을 따라 마셨을 테지만 지금 우리는 컵(cup)이라는 단어를 씁니다.과일을 짜서 나온 액체도 예전부터 마셔왔겠지만 주스(juice)라는 단어를 쓰고, 열쇠라는 말이 있지만 자동차 열쇠를 말할 때에는 거의 항상 차키(key)라고 합니다. 텔레비전이나 컴퓨터처럼 기존에 없던 개념이 새로 들어올 때에는 외래어를 쓸 수밖에 없는 상황도 생기겠지만, 이미 우리말에 있는 개념을 표현할 때에도 외래어가 사용되는 ...
홍콩 시립대는 영어로 City University Hong Kong, 약어로 CityU HK라고 쓴다. 홍콩 성시대학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홍콩 가우룽에 위치한 공립 연구 중심대학이다. 이 대학은 다른 홍콩 대학들보다 젊다. 1984년에 홍콩 성시 이공대학(City Polytechnic of Hong Kong)으로 설립됐고, 1994년에 종합대학으로 인가를 받았고 그때 대학 명칭을 변경했다...
홍콩 중문 대학( 香港中文大學,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UHK)은 홍콩 대학에 이어 이 지역에서 두번째 오래된 대학이다. 이 대학은 1963년 기존에 홍콩에 있던 충치 학원(崇基學院)과 신아 서원(新亞書院), 연합 서원(聯合書院)을 합쳐 설립됐다. 홍콩 중문 대학은 9개의 단과대학과 8개의 학부로 이루어져...
홍콩과학기술대학교(香港科技大學, Th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HKUST)는 줄여서 홍콩과기대로 부른다. 약칭으로는 科大라고 부른다. 이 대학은 1991년 설립된 신생 연구중심 대학이다. 개교 28년여 만에 세계 수준에 올랐다. ...
한국어의 한자어 어휘가 같은 의미의 중국어 단어와 다른 한자를 쓰는 경우를 심심찮게 볼 수 있습니다. 중국어에서는 照片(zhàopiàn, 조편)이라고 쓰는 사진이 좋은 예입니다.한자를 풀어 보면 사진(寫眞)은 베낄 사(寫)에 참 진(眞), 즉 진짜(眞)를 베낀다(寫)는 뜻이고 조편(照片)은 빛이 비친(照) 조각(片)이라는 뜻이 됩니다.사진이라는 뜻의 영단어인 photography도 빛(photo)으로 그린 그림(graphy)이라는 뜻이니 사진에 대해 중국어와 영어에서는 원재료인 빛에 관심이 많고 한국어에서는 무언가...
‘대소변을 보는 곳’을 직접적으로 묘사하지 않고 완곡하게 표현하는 것은 많은 언어에서 나타나는 특징입니다. 당장 한국어만 보더라도 똥오줌을 누는 곳이라는 뜻의 변소(便所, 똥오줌 변, 곳 소)보다는 화장을 하는 방이라는 뜻의 화장실(化粧室)이라는 단어가 압도적으로 많이 쓰입니다.일본어에서도 손을 씻는 곳이라는 뜻의 오테아라이(お手洗い) 혹은 영어의 toilet을 음차한 토이레(トイレ)가 주로 쓰이고 미국식 영어에서는 욕조(bath)가 있는 방이라는 뜻의 bathroom이, 캐나다식 영어에서는 씻는 방이라는 뜻의 washroom이 주...
홍콩 대학은 중국어 정자체로 香港大學, 영어로 University of Hong Kong이다. 이 대학은 1911년 설립된 연구중심 종합대학으로 싱가포르 국립대학(NUS), 난양 공대(NTU), 중국의 베이징대학, 칭화대학과 더불어 아시아 대학 톱 그룹을 형성하고 있다. 홍콩 섬 서쪽에 위치한 이 대학은 약칭 항대(港大)며 영어로는 HKU라고 한다...
■ A레벨을 한 학생 영국계 학교에서 A레벨을 한 학생들은 A레벨 시험에서 영어나 중국어 언어 과목을 포함하지 않고 세 과목에서 CCC이상을 받아야 한다. A레벨을 한 학생들은 CCC 갖고는 안된다. 대학마다, 전공마다 다르다. A레벨에서 세과목을 들은 학생보다 4과목을 이수한 학생이 훨씬 더 유...
홍콩 소재 대학들에 지원할 할 경우 가는 길은 크게 3가지다. 미국계, 영국계 그리고 국제 범용인 IB코스를 하는 학교에서 각각 가는 길이 있다. 물론 제 3의 길도 있다. 한국 학생의 경우 일반 고등학교에서 갈 수 있다. 그러나 한국 고등학교에서 가는 길은 지원자 수가 작아서 이번에는 언급하지 않을 생각이다. 미국계 학교 학생들은 대학 예비...
이제까지 중국 대학은 중국어로만 가는 것으로 알았다. 그러나 많은 중국 대학들이 영어로 전공을 개설하고 세계 각국의 청년들을 불러 모으고 있다. 자존심의 중국 대학들도 영어로 대학원 석박사는 물론 학부 학사과정 전공에도 문호를 개방했다. 영어는 더 이상 미국 말이나 영국 말이 아니다. 영어는 벌써 글로벌 표준어(Global Standard Lang...
연간 2천만원 수준, 가난하지만 우수한 학생들에게 최고 선택성적 우수 학생, 전액 장학금 받는다.필자가 해외교육 전문 컨설팅 기관인 미래교육연구소를 통해 많은 학생들 상담하면서 최근 느끼는 것은 최근 몇 년 전부터 홍콩, 싱가포르 대학들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이다.여전히 미국의 하버드 등 아이비리그 대학이 여전히 아시아의 홍콩, 싱가포르, 중국, 한국, 일본 대학들보다 우수한 것은 틀림없으나 그럼에도 홍콩, 싱가포르 대학을 선호하는 학생들이 많다는 점은 특기할 만하다.우수한 학생들이 홍콩과 싱가포르 대학을 선호하...
QS 세계 랭킹 50위 이내 3개 대학-홍콩대, 홍콩 과기대, 중문대거의 모든 주요 전공 영어로 제공미국 대학보다 학비 저렴, 장학금 대거 제공©HKU이번에는 THE(타임즈고등교육, Times Higher Education) 2019년 순위를 보자. THE는 아시아 13개국 300역 대학을 대상으로 2019년도 대학 순위를 매겼다. 이 결과 1위는 중국 칭화대, 2위 싱가포르 국립대학, 3위 호주 멜번 대학, 4위 홍콩 과기대, 5위 홍콩대학이 각각 차지했다.5위 이내에 홍콩은 2개 대학이 들었다. 6위는 베이징대, 7위는...
QS 세계 랭킹 50위 이내 3개 대학-홍콩대, 홍콩 과기대, 중문대거의 모든 주요 전공 영어로 제공미국 대학보다 학비 저렴, 장학금 대거 제공홍콩은 동서양 문화의 융합, 전통과 현대가 경쟁하는 곳인 동시에 아시아 지역 경제 중심지 가운데 한 곳이다. 또한 아시아 지역의 뛰어난 교육 중심지다. 홍콩은 중국의 자치행정구역이다.1842년 1차 아편 전쟁 후 당시 청나라가 대영제국에 양도했던 한적한 농어촌이었던 홍콩은 현재 세계에게서 가장 중요한 금융센터가 되었다. 세계에서 7번째로 큰 교역이 이뤄지는 지역이다.홍콩은 1997년 이후 중...
홍콩의 교육은 기본적으로 영국의 시스템을 따르고 있다. 초등학교 6년, 중등학교 7년 해서 13년의 교육 후에 대학에 진학한다.유치원도 정부에서 보조가 나와서 많은 부모들이 만 3세부터 자녀들을 유치원에 보낸다. 대학은 일부 순수과학분야를 제외하면 3년제가 정규학부과정이다. 물론 2012년부터 모든 홍콩내 대학에서 학부를 미국식으로 4년제로 바꾸었다.홍콩의 학제는 초등학교 6년, 중학교 3년, 고등학교 3년, 대학교 4년이다. 의무 교육은 초등학교 1~6학년, 중학교 1~3학년까지이다.학기는 보통 9월에 시작하여 이듬해 7월까지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