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문화권에 속한 지역에서 학교의 명칭이 어떻게 다른지를 알아보는 것도 재미있는 공부가 됩니다. 어린이들이 처음으로 가는 학교는 한국에서는 초등학교(初等學校), 중화권에서는 소학(小學), 일본에서는 소학교(小学校)라고 부르고 고등학교는 한국과 일본에서는 고등학교(高等學校), 중국에서는 고급중학(高级中学)이라고 부릅니다. 대학교는 한국을 제외한 한자 문화권에서는 대학교(大學校)라고 하지 않고 대학(大學)이라고만 부르지요. 일반적으로 한국에서는 학교 명칭 뒤에 항상 학교 교(校)를 붙이지만 다른 ...
현대에는 한국어나 중국어나 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글을 쓰지만 근대 이전에는 모든 한자 문화권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글을 썼습니다. 정확히는 오른쪽에서부터 한 줄씩 세로로 글을 썼지요.그러다가 근대 이후 점차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가로로 글을 쓰는 좌횡서(左橫書)가 널리 퍼지게 됩니다. 대략 인구의 85%에서 90%가 오른손잡이라고 하는데, 글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는 것이 오른손잡이에게 편하다 보니 좌횡서가 널리 쓰이게 된 것이 아닐까 추측해봅니다.하지만 한국에서도 서울의 독립문에 ‘문립독’이라고 쓰여 있는 것을 볼 수 있듯 홍콩...
한자 중에는 평소에 거의 사용되지 않지만 그 한자가 포함된 한두 단어가 유난히 일상에서 많이 쓰여서 존재감이 크게 느껴지는 글자들이 있습니다. 이번에 알아볼 상자 상(箱)도 그런 글자입니다.상자 상(箱)이 포함된 단어 중 일상에서 쓰이는 것은 상자(箱子)와 백엽상(百葉箱) 정도밖에 없지만 상자라는 말이 평소에 하도 자주 사용되다 보니 상자 상(箱)이라는 글자도 꽤 친숙하게 느껴집니다.집집마다 우편물을 받기 위해 설치해 둔 통을 한국어에서는 함 함(函)자를 써서 우편함(郵便函), 편지함(便紙函) 등으로 부르고 중국어에서는 상자 상(箱...
이제는 스마트 TV를 인터넷에 연결해서 온라인으로 영화를 보는 시대가 되었지만 불과 10여 년 전까지만 해도 동네의 비디오 및 DVD 대여점에서 영화를 빌려서 보곤 했습니다.당시 한국에 으뜸과 버금이라는 이름의 비디오 및 DVD 대여 프랜차이즈 업체가 있었는데 혹시 기억하시는 분이 계실지도 모르겠습니다.여기서 으뜸은 첫 번째, 버금은 두 번째라는 뜻의 순우리말입니다. ‘A가 B에 버금간다’라는 표현을 신문 등에서 볼 수 있는데 이는 B가 1등이라면 A는 2등이라는, 즉 A가 B보다는 못하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종종 A가 B에 맞먹는...
프랑스를 중국어로는 법국(法國)이라고 씁니다. 보통화 발음은 파궈(fǎguó), 광동어 발음은 팟궉(faat3 gwok3)입니다.과거 중국어에서는 프랑스를 소리나는 대로 법란서(法蘭西)라고 썼었는데 법란서(法蘭西)의 맨 앞 글자인 법(法)에 나라 국(國)을 붙인 것이 지금의 법국(法國)이라는 표현입니다.법란서(法蘭西)의 중국어 발음은 파란시(fǎlánxī)인데 프랑스와 꽤 비슷합니다. 한국어에서도 비슷하게 프랑스를 불란서(佛蘭西)라고 부르기도 하지요.성조를 무시하면 중국어에서 파(fa) ...
사진 속 물체는 홍콩의 횡단보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보행 신호기입니다. 횡단보도가 빨간불일 때 신호기의 버튼을 누르면 잠시 후 파란불이 켜집니다.가끔은 횡단보도에서 기다리는 보행자들이 다들 서로가 눌렀을 것이라고 생각해서인지 아무도 버튼을 누르지 않아 모두가 오랫동안 신호를 기다리게 되는 경우도 생기곤 합니다.버튼을 누르면 나타나는 붉은 색의 안내 문구는 기다려 달라는 의미의 請等候(청등후)입니다. 한자 밑에는 영어로 “Please wait” 이라고 쓰여 있는데 請(청할 청)이 please라는 뜻이니 等候(등후)가 wait임을 유...
도로를 건너기 위해 도로 위에 다리 모양으로 지은 건축물을 한국어에서는 육교(陸橋)라고 합니다. 구름다리라는 순우리말 표현도 있지요. 육교는 뭍 육(陸) 자와 다리 교(橋) 자가 합쳐진 단어로, 한자 그대로 풀어 보면 땅에 있는 다리라는 뜻이 됩니다.중국어에서는 뭍 육(陸) 대신 하늘 천(天)을 써서 천교(天橋)라고 부릅니다. 일반적으로 강을 건너는 다리는 땅과 같은 높이에 있고 육교는 땅보다 높은 곳에 있기 때문에 공중에 있는 다리라는 뜻에서 천교(天橋)라는 이름을 붙인 것 같습니다. 순우리말 단어인 구름다리도 비슷한 맥락에서 이...
홍콩은 눈이 안 오는 지역이지만 의외로 눈 설(雪)자를 일상 속에서 쉽게 볼 수 있는데 바로 아이스크림을 뜻하는 설고(雪糕, syut3 gou1)라는 단어 때문입니다.雪은 눈 설이고 糕는 떡 고이니 설고(雪糕)는 직역하면 눈으로 만든 떡이 됩니다. 설고(雪糕)는 광동어에서 주로 사용되는 단어로, 중국 본토에서 쓰이는 보통화에서는 아이스크림을 대부분 빙격릉(冰激凌, bīngjīlíng)이나 빙기림(冰淇淋, bīngqí...
백신은 중국어로 疫苗(역묘)라고 씁니다. 疫은 ‘전염병 역’이고 苗는 모내기라고 할 때의 ‘모 묘’ 이니 疫苗(역묘)라고 하면 전염병(疫)의 싹(苗)을 심는다는 뜻이 됩니다.묘(苗)를 풀어보면 밭(田, 밭 전)에 풀(艹, 풀 초)이 심겨 있는 모양이니 작은 모종, 싹이라는 뜻임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생백신이든 사백신이든 병을 일으키는 박테리아 혹은 바이러스를 약하게 하거나 죽인 뒤 사람 몸에 넣는 것이므로 전염병의 싹을 심는다는 뜻의 疫苗(역묘)가 참 적당한 이름이라고 생각됩니다.백신의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
MTR 노스 포인트 역의 B4 출구로 나가면 Tsat Tsz Mui Road가 있습니다. 영문명만 보면 가운데에 있는 Tsz를 어떻게 읽어야 할 지 난감한데 찻지무이 로드 정도로 읽으시면 됩니다.한자 표기로는 七姊妹道(칠자매도)이고 광동어 발음은 chat1 ji2 mui2 dou6가 됩니다. 예전에 이 위치에 칠자매 마을(七姊妹村, 칠자매촌)이 있었기 때문에 붙은 이름입니다.칠자매 마을이라는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이런 이야기가 전해 내려옵니다. 예전 이 지역에는 객가(客家)인들이 살았다고 합니다.마을에는 ...
물 하(河)는 원래는 중국의 황하(黃河)를 가리키는 고유명사였으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강이나 하천을 뜻하는 일반명사가 되었습니다.비슷하게 강 강(江) 역시 원래는 중국의 장강(長江, 양쯔 강)을 뜻하는 고유명사였지만 지금은 강을 뜻하는 일반명사로 쓰이지요.한국에서는 보통 강이라는 뜻으로 강 강(江) 자를 사용하지만 중국에서는 남쪽 지방에 있는 강은 강(江)으로, 북쪽 지방에 있는 강은 하(河)로 부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같은 한자 문화권인 일본에서는 강을 주로 내 천(川) 자를 써서 카와(かわ)라고 부릅니다.한자 문화권...
대부분의 한자는 한국어, 보통화, 광동어, 일본어 등의 한자 문화권 언어에서 각기 다른 소리로 발음됩니다. 하지만 간혹 여러 언어에서 같은 소리가 나는 한자를 보게 될 때도 있는데 오늘 살펴볼 차 차(茶)가 바로 그런 글자입니다.茶는 한국어에서는 ‘차’로, 보통화에서는 ‘chá’로, 광동어에서는 ‘cha4’로, 일본에에서도 ‘ちゃ(챠)’로 성조를 무시하면 다 똑같이 발음됩니다. 일본어의 ‘ちゃ(챠)’가 약간 달라 보이지만 실제로 발음해보면 ‘차’와 ‘챠’는 구분이 힘듭니다.한국어의 표준 발음법에서도 ‘차’와 ‘챠’는 같은 ...
요즘은 크리스마스라는 말이 주로 쓰이지만 예전에는 12월 25일을 성탄절이라고 많이 불렀습니다.성탄절은 성인(聖人)의 탄생(誕生)을 기리는 명절(名節)이라는 뜻에서 한자로 聖誕節이라고 쓰는데 광동어에서는 쎙딴짓(sing3 daan3 zit3) 정도로 발음됩니다. 산타클로스는 성탄노인(聖誕老人)이라고 쓰고 쎙딴로우얀(sing3 daan3 lou5 yan4)이라고 읽지요.성탄절의 성(聖)은 거룩할 성이라는 글자입니다. 성(聖)에 대해서는 뜻과 뜻이 결합된 회의자라는 의견과 소리 부분과 뜻 부분이 결합된 형성자라는 의견이 존재하는데 글자...
가득 차다는 뜻을 가진 滿(찰 만)은 일상에서 매우 자주 쓰이는 한자 중 하나입니다.아닐 미(未)와 결합하면 아직(未) 다 차지(滿) 않았다는 뜻의 미만(未滿)이 되고 마칠 료(了)와 결합하면 정해진 기한이 다 차서(滿) 마치게(了) 되었다는 뜻의 만료(滿了)가 됩니다.꽉 찬 달인 보름달은 한자로 만월(滿月)이라고 하지요. 만족(滿足)하다, 불만(不滿)이다라는 표현에서도 역시 찰 만(滿)을 볼 수 있습니다.한편 滿은 지명이나 인명 등의 명칭에서도 볼 수 있는데, 그 중 가장 유명한 단어는 아마도 청나라를 세웠던 민족인 만주족(滿洲族...
子라는 글자는 머리는 크고 팔다리는 짧은 아기의 모습을 나타낸 상형문자입니다. 子에는 수많은 뜻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아들 자’라는 용법은 그 중 하나에 불과합니다.첫째로 자(子)는 상형문자로서의 유래 그대로 성별에 상관없이 어린이를 가리키는 말로 종종 쓰입니다. 자식(子息)은 아들과 딸을 통틀어 일컫는 단어이고, 자궁(子宮)도 성별에 관계없이 아기의 집(宮, 집 궁)이라는 뜻입니다. 일본어에서 어린이를 고도모(子供, こども)라고 하는 것도 좋은 예로 볼 수 있습니다.둘째로 자(子)는 의외일 수도 있겠지만 여성을 뜻하...
숫자 10은 한자로 十(열 십)이라고 씁니다. 그러면 20은 어떻게 쓸까요? 당연히 二十(이십)이라고 쓰면 되지만 한 가지 방법이 더 있습니다. 바로 廿(스물 입)자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10이 두 개 있으면 20이 된다는 뜻에서 十을 두개 붙여 十十이라고 쓴 뒤에 아랫부분을 선으로 이어 준 글자가 廿(스물 입)입니다. 마찬가지로 十을 세 개 붙여 만든 十十十 모양인 卅은 30을 뜻하는 서른 삽이라는 글자이고, 十을 네 개 붙인 十十十十 모양인 卌는 마흔 십이라는 글자입니다. 같은 ...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한국의 만원권 지폐는 2007년에 등장한 5차 지폐입니다. 그 전까지는 1983년부터 발행되었던 4차 지폐가 사용되었습니다. 흔히 ‘옛날 만원’ 이라고 불리는 이 지폐를 기억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것입니다. 이 옛날 만원의 뒷면에 있는 건물이 국보 224호로 지정되어 있는 경복궁의 경회루(慶會樓)입니다. 앞 연못에 경회루가 비친 모습이 참 아름답지요.경회루는 조선 시대에 경복궁에서 연회를 베풀 때에 사용하던 건물로, 문이나 벽이 없이 사방이 트인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그래야 바람도 시원하게 불고 연못 및 주위 경...
지리 용어 중에 모래부리라는 것이 있습니다. 말 그대로 모래톱이 새 부리처럼 가느다랗고 길게 바다로 뻗어 나간 지형을 뜻하는 용어입니다.한자로는 모래 사(沙)와 부리 취(嘴)를 사용해서 사취(沙嘴)라고 씁니다. 이 모래부리, 사취가 바다로 바다로 뻗어 나가다가 반대편 해안가에 닿게 되면 그 때부터는 물가 주(洲) 자를 써서 사주(沙洲)라고 부릅니다.그리고 만약 사주가 육지와 섬을 연결하게 되면 그 사주는 육계사주(陸繫沙洲), 그 섬은 육계도(陸繫島)라고 부르지요. 제주도에 있는 성산일출봉이 대표적인 육계도입니다.침사추이는 홍콩의 대...
홍콩인들 중에는 외지 출신이 많습니다. 꼭 본인이 아니더라도 족보를 거슬러 올라가다 보면 꽤 가까운 조상 대에 외지에서 홍콩으로 온 경우가 많지요.한 예로 홍콩의 유명 기업인인 리카싱(李嘉誠, 이가성)은 광동성 출신으로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을 피해 홍콩으로 온 경우이며, 요즘도 중국의 다른 지방 출신으로 홍콩에 정착하는 사람들이 꾸준히 있습니다.인구 통계를 보면 1841년에 7450명이던 홍콩 인구가 2017년에는 740만 명으로 176년 사이에 약 1000배 증가했으니 외지에서 홍콩으로 온 사람들이 많았을 것이라는 것을 짐작...
조선 시대에는 아마도 마스크가 없었거나 있었더라도 널리 퍼지지는 않았던 듯합니다. 만약 있었다면 지금 우리가 마스크를 마스크라는 외래어가 아닌 우리말로 부르고 있었겠지요.그나마 마스크와 비슷한 개념의 단어로 방독면이 있겠으나 우리가 일상에서 말하는 마스크와는 조금 거리가 있습니다. 최근 홍콩에서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비하는 차원에서 방독면을 쓰는 사람들도 볼 수 있었기는 하지만요.마스크처럼 과거에는 없던 새로운 물건이 나타나면 이름을 붙여 주어야 합니다. 한국어에서는 영단어 mask를 소리나는 대로 옮겨서 '마스크'라고 부르는...
코로나바이러스의 코로나(corona)는 라틴어로 왕관이라는 뜻입니다. 이 코로나에서 왕관을 뜻하는 영어 단어 크라운(crown)이 나왔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를 현미경으로 보면 동그란 바이러스의 테두리를 따라 돌기가 나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그 모습이 마치 왕관 같다고 해서 붙은 이름입니다. 우리말로 치면 왕관 바이러스라고 정도의 이름으로 볼 수 있겠네요.한국어에서는 coronavirus를 소리나는 대로 코로나바이러스라고 읽지만 중국어에서는 실제로 왕관 모양의 바이러스라는 뜻을 살려서 冠狀病毒(관상병독)이라는 말을 씁니다. 한국어...
홍콩수요저널이 추천하는 집단 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