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한국기계연구원이 중국과 일본 과학기술자와 함께 미세먼지 문제 해결을 위해 머리를 맞댔다. 기계연은 9∼11일 중국 다롄(大連)에서 열린 '한국·중국·일본 플라스마 정전기 기술 교류회'에서 송영훈 환경시스템연구본부장이 미세먼지 저감 대응 기술을 소개하고 중국시장 적용을 논의했다고 12일 밝혔다.
![]() |
송 본부장은 플라스마를 이용한 차량 매연 저감기술을 발표했다. 이 기술은 기존 디젤 차량에 적용된 매연 저감 장치에 소형 플라스마 버너를 붙여 효과를 향상한다는 평을 받는다. 기존 기술과 달리 배기가스 온도가 낮거나 엔진 운전 조건이 나쁘더라도 제약 없이 매연을 태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디젤 엔진을 사용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이 추진되고 있다고 기계연은 설명했다.
기계연 김학준 책임연구원은 또 반도체 공정과 공장 실내 공기질 등에 필요한 최신 전기 집진기술을 선보여 참석자 눈길을 끌었다. 기계연 송영훈 본부장은 "중국 대기오염 원인이 자동차뿐 아니라 석탄을 주원료로 쓰는 가정용 난방에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이를 줄이기 위해 어떤 기술을 필요로 하는지 공유할 기회였다"고 말했다.
많이본뉴스
많이 본 뉴스
- 1수요저널 땅콩뉴스 2025-2-17 (월)
- 2中 명문대학들, 화웨이·알리바바 등 테크 인재들 교수로 영입
- 3치솟는 금값에 中본토인들 홍콩행까지…"조금이라도 싸게 사자"
- 4中에 韓다이어트약 등 반입했다 마약수사 잇따라…당국 주의당부
- 5"동남아 국가들, 남중국해 긴장 고조로 中대신 韓무기 의존"
- 6수술중 숨진 '홍콩 재벌 3세' 집도의 업무상과실치사 무죄
- 7[우리교회] 더불어 함께 회복하는 교회
- 8JMS 피해자 메이플, 홍콩 수영선수 출신 연예인 팡리선과 결혼
- 9수요저널 땅콩뉴스 2025-2-18 (화)
- 10[이승권 원장의 생활칼럼] 이코노미스트가 주목한 북환선 프로젝트
게시물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