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라정보] 글로벌 컨설팅 기업이 바라본 2024년 홍콩 고용 시장 트렌드와 전망(1)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코트라정보] 글로벌 컨설팅 기업이 바라본 2024년 홍콩 고용 시장 트렌드와 전망(1)

11.png

 

10.png

 

홍콩 고용시장 현황

 

지난 2024년 4월 18일 홍콩 인구통계국(C&SD) 발표에 따르면, 2024년 1~3월 홍콩 실업률(Unemployment rate)은 3.0%로, 직전 주기인 2023년 12월~2024년 2월 대비 0.1%p 증가했다. 

 

불완전고용률(Underemployment rate)* 또한 직전 주기 대비 0.1%p 증가한 1.0%를 기록했다. 대부분의 산업 전반에서 실업률이 소폭 증가했으며, 소매, 숙박, 외식, 전문 서비스 부문에서의 실업률 증가가 비교적 뚜렷했다. 홍콩 노동복지부는 향후 홍콩 경제가 계속 성장함에 따라 노동시장은 단기적으로 (초과수요가 존재하는) 타이트한 상태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했다.

 

* 주: 불완전고용률(Underemployment rate)이란, 비자발적 파트타임 등 더 일하고자 하는 의사 능력이 있음에도 노동시간이 짧은 경우를 의미

 

KPMG 홍콩, 2024년 홍콩 우수 인재 고용시장 전망 보고서 발표

 

글로벌 회계 컨설팅 기업인 KPMG의 홍콩 사무소는 글로벌 인재들이 활동하고 있는 홍콩의 우수 인력 고용시장 동향에 대한 Hong Kong Executive Salary Outlook 보고서를 매년 발표하고 있다. 

 

이하에서 2024년 3월에 발표된 해당 보고서 내용을 살펴본다. 

 

이번 보고서는 홍콩에 근무하는 임직원 및 전문직 종사자*(일부 Greater Bay Area 지역 근무자 포함) 1103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작성됐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주: 이번 설문 조사 참가자는, 연차에 따라 임원급(C-Level) 18%, 부장급(Department Head or equivalent) 28%, 차/과장급(Manager or senior manager) 35%, 대리급 이하(Assistant manager or below) 19%로 구성

 

1) 혁신기술 분야 및 소비재 부문을 중심으로 전년보다 완만한 증가세 예상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대비 2024년 고용 시장 규모의 안정적이고 완만한 증가세가 기대됐다. 

 

특히 조사 임원급 이상 관리자의 80% 이상이 여전히 2024년에도 고용 규모를 유지하거나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내용적으로는 전년 대비 고용 규모 증대를 예상하는 응답자 비중은 상대적으로 줄고, 감소를 예상하는 응답자 비중은 상대적으로 늘어난 것으로 조사된 점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산업 분야별로는 혁신과학기술, 소비재 등의 산업 분야 등에서 고용 증가에 대한 기대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다만, 이들 분야의 경우 고용 증가를 예상하는 응답자의 수도 전년 대비 크게 줄어 고용 증가세는 전년 대비 상대적으로 완만한 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 산업 부문별 고용 규모에 대한 조사 결과의 분석 내용은 아래의 표와 같이 정리가 된다.

 

직무별로 보면 영업직무나 관리직무는 정원이 증가할 것이라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났고, 투자 및 인사직무에서는 적게 나타났다.

 

9.png

 

2) 구직자(candidae-driven) 중심에서 적격 매칭(tal-ent maching) 중심으로 변화

 

2023년 홍콩 기업 채용 담당자들은 채용에 있어 큰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년간 지속돼 온 구직자 중심의 고용시장 구조가 변화 조짐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됐다. 

 

2023년 채용 담당자의 97%가 적합한 인재를 채용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꼈다고 답했고, 이들 중 63%는 ‘채용이 매우 어렵다(unmanageable)’라고 응답했다. 

 

분야별로는 소비재, 부동산 분야의 채용이 상대적으로 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는데, 두 개 분야에서 ‘채용이 매우 어렵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각각 72%와 71%로 산업 부문 중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8.png

 

또한 이번 조사에 따르면 임원 이상의 관리자와 HR 담당자의 48%가 중국 본토의 우수 인력을 채용한 반면, 해외 인력(over-seas talent market)을 채용한 응답자는 31%로서 우수 인력 확보의 어려움을 중국 본토 인력으로 보완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3) 높은 급여 인상률에 대한 기대는 상대적으로 낮아져

 

2023년 기준 전체 응답자의 68%가 급여 인상이 됐다고 답했는데, 이는 2022년의 73%에서 5%p 감소한 수치이다. 

 

인상률 관련해서는 3~5%의 임금 인상을 경험한 응답자가 제일 많았으며 (34%) 이는 전년 대비 6%p 증가한 수치이다. 반면 16% 이상 임금 인상을 경험한 응답자는 2022년 19%에서 5%로 감소했다.

 


7.png

 

2024년 급여가 인상될 것으로 예상한 비율은 전체 응답자의 78%로, 2023년 74%에서 4%p 증가했다. 

 

즉, 높은 급여 인상률 에 대한 기대는 낮아지고, 5% 이내의 급여 증가율을 기대하는 응답자의 비중은 높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6.png

 

분야별로는 공공 부문 분야 종사자의 급여 인상 전망 비율이89%로 전체 평균(74%)을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급여 인상률 전망치로는 3~5% 증가할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3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뒤이어 10~15% 증가(12%), 6~9% 증가(12%), 2% 미만 증가(11%), 16% 이상 증가(7%), 감소(3%)로 나타났다.

 

5.png

 

주목할 부분은 2024년 급여가 10% 이상 증가할 것으로 보는 비중은 2023년 대비 전 직급에서 감소했으며, 직급이 내려갈수록 이러한 격차는 더욱 두드러진 점이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