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중국 지방정부들이 내수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최저임금을 잇달아 인상했다고 16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이 보도했다.
중국 인력자원사회보장부에 따르면 산시성, 쓰촨성, 내몽골, 신장위구르자치구, 충칭시 등 5개 성급 자치구가 최근 최저임금을 인상했으며, 중국 지방 정부의 절반가량이 지난해 최저임금을 인상한 것으로 파악됐다.
중국은 전국 각지의 생활 수준 격차가 워낙 크기 때문에 지방 정부마다 자체 최저임금을 정한다고 SCMP는 설명했다.
임금이 대체로 낮은 공장 근로자를 비롯해 청소부·경비원·계산원 등 서비스업 종사자가 직접 영향을 받는다.
지방별 인상 범위는 월 70위안(약 1만4천원)에서 200위안(약 4만원) 규모로 파악됐다.
인구 약 3천만명의 '국가중심도시'인 충칭시는 2천위안(약 39만5천원)이던 최저 월급을 2천200위안(약 43만5천원)으로 10% 인상했다.
전국에서 임금 수준이 가장 낮은 신장위구르자치구는 월 1천540위안(약 30만5천원)에서 13.6% 인상한 월 1천750위안(약 34만5천원)으로 최저임금 기준을 상향 조정했다.
이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 이후 미중 간 무역 갈등이 더욱 격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중국 정부는 내수 진작에 집중하고 있다.
중·저소득층 최저임금 인상은 소비 촉진에 효과적인 정책으로 평가받고 있다.
국무원(중앙정부) 발전연구센터 부주임을 역임한 경제학자 류스진 박사는 "중국의 저소득층 인구는 9억명으로, 전체 인구의 64%를 차지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협약)
많이본뉴스
많이 본 뉴스
- 1서울시, 중국 상하이시와 문화관광 교류 활성화 '맞손'
- 2수요저널 땅콩뉴스 2025-6-26 (목)
- 3법무부, 재외동포 정착 돕는 '동포체류지원센터' 23곳 선정
- 4수요저널 땅콩뉴스 2025-6-27 (금)
- 5수요저널 땅콩뉴스 2025-6-28 (토)
- 6독일도 애플·구글에 "중국 딥시크 앱스토어 퇴출" 통보
- 7李대통령 "경제는 타이밍…속도감있는 추경집행 중요, 국회협조 당부"
- 8트럼프 "중국과 합의 서명"…관세휴전 이어 '희토류 갈등' 봉합
- 9中, 자국산 첫 비만약 시판 허가…위고비에 도전장
- 10中유학생 쏠림에…日, 외국인 박사과정 생활비 지원 제외
게시물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