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중국 남부 광둥성에 세 번째 국제공항이 건설된다.
7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와 중국 경제매체 차이롄서, 광둥성 교통부 등에 따르면 중국 국무원은 지난달 말 주장(珠江)삼각주 허브 공항(광저우 신공항) 건설 프로젝트를 정식 승인했다.
광저우 신공항은 광저우 바이윈 공항과 선전 바오안 공항에 이어 광둥성에 지어지는 세 번째 국제공항으로, 자오칭시와 포산시의 경계에 들어선다.
2028년에 운영을 시작할 계획인 이 공항은 중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성(省)인 광둥성의 공항 혼잡을 완화하고 국제 화물운송 허브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당국은 기대했다.
광둥성 교통부에 따르면 광저우 신공항에는 37만㎡ 규모의 터미널을 비롯해 고속철도를 비롯한 종합교통센터, 주차건물, 화물운송 시설 등이 건설된다.
신공항의 연간 운송실적 목표는 2035년께 여객 3천만명, 화물 50만톤(t)이다. 장기적으로는 2050년까지 연 여객 6천만∼8천만명, 화물 220만t 운송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2022년 중국 정부가 발표한 제14차 5개년 민간항공 발전계획에 포함된 것으로, 지난달 25일 예비 공사에 들어갔으며 올해 상반기에 본격적으로 착공한다.
광둥성 인구는 2023년 말 기준 1억2천700만명으로, 이 가운데 3분의 2가 주장 삼각주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광둥성의 주관문인 바이윈 공항은 2023년 여객 6천317만명, 화물 200만t을 운송했다. 이 공항은 3단계 확장 공사를 진행 중이다.
광둥성 싱크탱크 '광둥체제 개혁연구회'의 펑펑 회장은 "광둥성의 항공 교통량이 (공항 규모에 비해) 지나치게 몰리고 있다"며 "광둥성 인구 규모로 볼 때 공항이 발전할 여지가 크다"고 말했다.
중국의 항공 수요는 급증세다. 에어버스가 지난달 20일 발표한 글로벌서비스전망(GSF)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에서 약 7억명이 항공편을 이용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에어버스는 중국의 항공서비스 시장 가치가 지난해 230억달러(33조5천억원)로 2023년 대비 24% 성장했으며, 2043년께는 630억달러(91조9천억원)로 증가해 북미와 유럽을 제치고 세계 최대 규모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연합뉴스 협약)
많이본뉴스
많이 본 뉴스
- 12025 법륜스님 행복한 대화
- 2수요저널 땅콩뉴스 2025-6-28 (토)
- 3트럼프 "중국과 합의 서명"…관세휴전 이어 '희토류 갈등' 봉합
- 4독일도 애플·구글에 "중국 딥시크 앱스토어 퇴출" 통보
- 5中, 자국산 첫 비만약 시판 허가…위고비에 도전장
- 6美재무 "9월 1일 美노동절까지 무역협상 마무리할 수 있을 것"
- 7中서 첫 휴머노이드 로봇 축구대회…"5∼6세 어린이 운동 실력"
- 8"인재 채용·매장 확장"…韓 시장서 발 넓히는 중국 기업들
- 9미래에셋 '홍콩 상장 커버드콜 ETF' 순자산 3억달러 넘겨
- 10中, 1년10개월만에 日수산물 수입 재개…"핵오염수 이상 미발견"
게시물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