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중국 화남지역 전자산업과 함께 성장-
- CEPA 혜택은 미미한 실정-
* 홍콩 전자산업 발전 배경
☞ 2005년 홍콩전자업의 발전은 대부분 중국이 세계공장으로 자리 잡으면서 특히 화남의 전자업이 크게 발달한 것에 기인하고 있음.
☞ 중국화남 중심지인 주강삼각주는 전자제품 생산활동 이외에도 구매활동이 매우 활발함. 이는 세계각지의 바이어들이 주강삼각주 일대에서 대량의 원료와 부속품을 구매하고 있기 때문임.이에 따라 주강삼각주 일대는 전자상품의 생산기지이자 집산지로 성장함.
* 홍콩전자산업 현황
☞ 최근 2-3년간 세계적인 전자업 호황으로 홍콩수혜
- 전세계 전자상품 수요가 증가하고 신상품이 끊임없이 출시되었으며 홍콩 전자업도 이로 인해 많은 혜택을 보고 있음.
☞ 홍콩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
- 2004년 홍콩 전체 수출화물가치(직접수출과 중계무역 포함)는 홍콩달러 2조 191억원이며 이 중 전자업 수출이 9천 77억 6천원을 기록 전체의 45%를 차지하고 있음.
☞ 홍콩수출입에서 중국 재수출비중이 매우 커
- 2005년 1월부터 10월까지 홍콩 전자업 수출화물가치는 동기간 대비 19% 상승한 8천 792억원을 기록. 이 중 중국으로의 수출이 49.8% 차지함으로써 전년대비 23% 상승.
☞ 소비성 전자상품이 주류.
- 음향기재, MP3 , 컴퓨터, 통신기재와 전자부품이 주를 이루고 있음.
- 홍콩기업 제조상품으로는 전자교육완구, 전자사전, PDA, 자동차음향설비, 자성산품, 전원, 발광2극관(LED) 조명설비, 액정체 디스플레이(LCD) 등이 주를 이룸.
* 홍콩전자산업의 문제점
☞ 제조업 성장 둔화
- 2005년 홍콩의 전기제조업의 수출액은 지난해와 비교 10%성장을 기록, 전자수출업보다 성장률이 떨어짐.
☞ 원가상승에 따른 부담증가
- 플라스틱과 금속 등 원료가격이 상승하고 에너지와 인민폐 평가절상으로 구매 및 생산원가가 증가
- 특히 홍콩자본의 제조업자는 대체로 중국대륙에서 인민폐로 원료를 구매하고 생산 주문서는 미화로 오퍼하기 때문에 제조업자에게 환차 손실을 가져오고 있음
- 이밖에도 최근 중국에서 수많은 신규 제조업자가 시장으로 진출하면서 가격경쟁이 더욱 악화되고 있음.
* CEPA와 홍콩전자산업
☞ CEPA 3단계 실시에 의한 홍콩 전자업은 혜택이 거의 없으며 2006년부터 중국의 WTO이행으로 CEPA의 상대적인 우위혜택도 사라짐.
☞ CEPA의 목적은 홍콩공업의 부분적인 생산제조공정회로를 고무하는 것이나 전자업에 있어서홍콩제조의 원산지규정 30%에 부합하기란 상당한 어려움이 있음.
- 높은 토지가격, 고임금, 노동력 부족과 같은 근본적인 문제 이외에도 세무와 토지혜택 결핍 등으로 생산투자에 불리한 조건
* 홍콩전자산업의 발전방향
☞ 중국 내수시장에 초점
- 과거 중국내륙에 공장을 설립한 홍콩 제조업자는 내수시장을 중요시 하지 않았음. 그 가장 큰 이유는 외국자본의 제조업자는 내수판매권이 없고 중국소비자의 평균수입이 낮았기 때문임.
- 그러나 최근 중국 경제의 발전, 중국인의 평균수입 증가, 정보의 발달 등으로 신상품 품질과 기능에 대한 고객니즈가 높아지고 있음
- 이밖에도 외자 기업에 대한 내수 판매권 제한이 없어지면서 홍콩을 비롯, 국제 제조업자들은 중국 내수시장의 잠재력 증가됨.
☞ 자체브랜드 개발강화
- 홍콩제조업체들이 대부분 OEM, ODM으로 전자부품을 공급하고 있어 향후 홍콩기업제조의 브랜드창출노력이 시급한 실정
자료원: 홍콩생산성 본부
홍콩무역관 심재희
jaehee@kotra.or.kr
게시물 댓글 0개